반응형

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요인 (개인적인 생각)
- 절대요인
- 아파트 대단지 500세대 이상
- 신축일수록
- 주변 인프라(일자리/교통/초품아/학군/상권/병원/주차 등) - 상승
- (시황)통화량 증가(화폐가치 하락)
- (시황)금리 하락
- (시황)추격매수 심리
- (시황)원자재 가격 인상
- (시황)전월세전환율
- (지역)공급량 부족
- (지역)교통호재
- (지역)일자리호재
- (지역)가구 수 증가
- (지역)가구 소득 증가
- (지역)투자자의 유입
- (단지)재건축 사업성
- (단지)상대적 저평가
- (단지)전세가율
- (단지)재건축 사업속도(안전진단 통과여부 등) - 하락
- (시황)통화량 감소(화폐가치 상승)
- (시황)현재 가격(소득 대비 가격부담)
- (시황)하락 심리
- (시황)금리 상승
- (지역)공급량 증가(지역생활권)
- (지역)인구 감소
- (지역)투자자의 탈출
- (단지)아파트의 노후화 - 불확실한 요인
- 대출 규제/완화
- 재건축 규제/완화
- 양도세/취득세/종부세
- 3기 신도시(청약)
20220812 시황체크
수도권
-상승요인: 원자재 가격 인상, 공급량 부족, 가구 수 증가, 가구 소득 증가, 종부세 완화, 양도세 일시적 완화
-하락요인: 현재 가격, 하락 심리, 금리 상승, 공급량 증가(경기남부, 인천), 대출 규제
- 원자재 가격에 따른 분양가 상승이 필연적임에도 일부 미분양이 일어나고 있음 ▼
- 서울에는 공급량이 부족하나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공급이 있어 특정 생활권에서는 공급량 작용이 변수 ◆
- 1인 가구 증가로 가구 수 증가 ▲
- 임금 상승으로 인해 가구 소득 증가 -> 다만, 특정 업종/대기업이 상승을 주도함 ▲
- 종부세 완화, 양도세 완화, 상생임대인 제도 등 다주택자(의 투자)에 유리한 제도 개편 ▲
- 2020-2021년 과도한 상승, 일부 지역의 오버슈팅으로 인한 가격부담 (21.9.~10. 고점 대비 15~20% 하락 진행 중) ▼
- 금리 상승으로 인하여 월세선호 현상 -> 전세가율이 낮아져 결국 투자자에겐 부담 ▼
- 추가 금리 인상이 예고되어 하락 심리 -> 다만, 대출 금리의 선제적 인상으로 가산 금리는 오히려 하락하기도 함 ▼
혼돈의 카오스 시기..
(과연 올 하반기는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)
[카카오 채널]
콩숩스 데일리라이프
콩숩스 데일리라이프 [맛집카페/영화/재테크투자]관련 정보 받아가세요!
pf.kakao.com
"카카오 채널 추가하시고 정보 받아가세요!!"
반응형
'💰재테크와 투자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책 요약 리뷰 :: 월급쟁이의 첫 부동산 공부 - 마중물 (추천★) (2) | 2022.08.24 |
---|---|
부동산 책 리뷰 :: '박과장은 어떻게 5년 만에 120억을 만들었나' - 박재진(갓슬러) (0) | 2022.08.17 |
부동산 책 리뷰 :: '감정평가사가 알려주는 정년 없는 부동산 경매 - 차건환' (0) | 2022.08.12 |
부동산 경매 :: 왕초보 부동산 경매 모의 입찰 낙찰가 맞추기 1탄 (4) | 2022.08.09 |
부동산 도서 책 리뷰 :: 왕초보를 위한 추천 도서 '경매가 이렇게 쉬울 줄이야 - 이명재' (0) | 2022.08.06 |